2013년 11월 20일 수요일

던전앤파이터. 다시 시작해본다.

아마 내가 던파를 시작했던건 2007년 여름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이후 3년 정도를 하다가 던파와 결별을 했었다.
그때는 개이계가 막 업데이트 되었을 때 였고, 여전히 만렙이 70레벨이던 때였다.
던파를 한동안 하지 않았던 이유는 회사에 들어가 일을 시작하면서 바빠지기 시작했고 그것보다 큰 이유는 던파에 흥미를 잃어버렸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최근에서야 다시 던파에 접속했다.
여런처, 남런처, 소환사 레압은 모두 팔아버리고 접을 당시 골드도 대부분 팔아버리고 접었다고 생각하고는 잠깐 구경이나 해볼 생각으로 접속을 했다.
그런데 접속하고 보니 생각과는 달랐다.
백화요란 5차 레압은 팔지도 않고 인벤에 그대로 들어있었고, 소환사에는 3천 골드가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아마 템 정리를 하다가 잊어버리고 그대로 묵혀둔 것 같았다.)
게다가 헤비베럴과 백화요란에는 다 갈아버린줄 알았던 크로니클 세트템들이 그대로 있었다.

....
그래서 다시 던파를 시작하게 되었다.

1. 다시 시작한 던파, 달라진게 무엇인가?


내가 던파를 접었던 시기는 2010년 10월 쯤이었다. 그리고 다시 시작한건 2013년 9월 중순이다.
약 3년의 시간 동안 달라진게 무엇이 있을까?


1. 이계던전의 변화

과거 통칭 구이계로 불리던 던전인 '고블린 왕국, 란제루스의 개, 꿈틀대는 성' 뿐 아니라 신이계로 불리는 '검은 대지, 바칼의 성, 이계의 틈'이 추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그냥 이계와 改이계가 따로 있었으나 이제는 改이계로 통합되어 2차는 모두 개템으로 통합되었다.
(그래서 과거 가지고 있었던 2차 셋템 업그레이드 하느라 가지고 있던 마성을 모두 날렸다.)

개인적으로 느끼는 난이도를 따지자면,
란제루스의 개< 꿈틀대는 성 < 고블린 왕국 < 이계의 틈 < 검은 대지 < 바칼의 성
정도라고 해야될까?
수정 : 이건 내 주력 캐릭이 넨마와 토네라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추가로, 과거에는 던전에 대한 숙련으로 이계를 클리어했다면 지금은 스펙으로 이계를 클리어한다는 느낌이 강하다.
궁금하다면 직접해보시길 추천한다.


2. 진 : 고대던전의 출현

과거 세팅의 종막이 이계 던전이었다면 이제는 진고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빌마르크의 실험장, 비명굴, 왕의 유적, 노이어페라, 레쉬폰, 유령열차, 카르텔 사령부 등의 고대던전이 '진'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
(카르텔 사령부는 이후에 추가된 고대던전이다.)
등장하는 몬스터들은 비슷한데 안으로 들어가면 지형이 조금 다르다.
또한, 네임드 몬스터가 두마리씩 등장하거나 상태이상 레벨이 굉장히 높아서 한번 걸리면 비명횡사할 수 있으며,-상태이상 레벨이 100이다.-사람수 * 코인 1개로 최대 코인이 제한된다.-즉, 파티원이 2명이면 최대 코인 제한은 2개, 4명이면 최대 코인 제한은 4개이다.

아직 다 돌아보진 못했지만-빌마, 왕유, 노페, 레쉬폰 네 군데만 돌아보았다.-사람들이 말하는 난이도를 보면,

빌마르크의 실험장 < 유령열차 < 노이어페라 < 비명굴 < 레쉬폰 < 카르텔 사령부 < 왕의 유적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어려운데도 진 : 고던을 도는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리버레이션 무기 때문이다.
진고던을 돌며 한정퀘로 모은 재료템으로 진혼 무기라는 것을 사고, 그 진혼 무기를 업그레이드해서 만드는 것이 바로 리버레이션 무기이다.
참고로 공격시 추가 데미지 16%라는 무지막지한 옵션이 붙어있다.
덧붙여서 진혼 무기에도 공격시 추가 데미지 11%의 옵션이 붙어있다.


3. 마법 봉인 아이템

이제는 아이템에 스킬이나 다른 옵션이 붙지 않는다.
대신 봉인을 해제하면 옵션이 뜨는데 레어의 경우는 횟수 제한없이 변경할 수 있다.
무기에 부여되는 자세한 옵션은 여기를 참조해보자.


4. 새로운 직업과 2차 각성

2010년 이후에 새로운 직업들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왔으며, 2차 각성이라는게 나왔다.
간단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 새로운 직업(괄호 안은 각성명,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은 외전 캐릭터이다.)

프리스트 : 어벤져(둠스 가디언)
남 마법사 : 엘리멘탈 바머(워록), 빙결사(프로즌 하트)
여 마법사 : 크리에이터
남 귀검사 : 다크나이트
여 귀검사 : 소드마스터(노블레스), 다크템플러(암제), 데몬슬레이어(검마), 베가본드(검호)

※ 2차 각성(현재 남 귀검사, 여 격투가만이 2차 각성이 가능하다.)

넨 마스터 > 백화요란 > 염제 폐월수화
그래플러 > 토네이도 > 얼티밋 디바
스트라이커 > 챔피언 > 카이저
스트리트파이터 > 독왕 > 용독문주
웨펀마스터 > 검성 > 검신
소울브링어 > 소울테이커 > 다크로드
버서커 > 헬벤터 > 블러드 이블
아수라 > 대암흑천 > 인다라천

참고로 염제 폐월수화, 카이저, 인다라천이 요즘 굉장히 잘나간다.


5. 시세 변화

2010년과 비교했을 때, 골드가치가 2배에서 3배 정도로 하락했다.
현금가치로도 2010년에 1000만당 약 3만원 ~ 3만 5천원 정도 했던 시세가 현재는 1000만당 약 만원정도 한다.

여담이지만, 레압 시세를 보면 직업마다 다르지만 엠블렘이 없는 레압을 사면 7천 이하에 사는 경우도 보았고(노블레스 기준), 몇 부위는 직접 띄우고, 몇 부위는 구매하면서 직접 엠블렘을 박은 경우에 1억을 조금 넘기는 가격에 구매하는 것도 보았다.(카이저, 찬란 엠블렘)
여담은 그냥 도움이나 될까 싶어서 남기는 말이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6. (개인적으로 느끼는)직업 선호도

최근 웹을 돌아다니다보면 던파 직업 계급표라는 것이 있는데 이런 것이다.


복귀한지 얼마 되진 않았지만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정리를 해보겠다.
(그냥 순위만 매기도록 하겠다.)

상위권

1. 카이저
2. 엘레멘탈 마스터
3. 염제 폐월수화
4. 얼티밋 디바
5. 인다라천
6. 암제
7. 검호
8. 용독문주
9. 다크 로드

중위권

9. 크리에이터
10. 다크나이트
11. 무극
12. 홀리오더
13. 프로즌 하트
14. 노블레스
15. 메탈하트
16. 제너럴, 발키리
17. 검마
18. 검신
19. 프로즌 하트
20. 블래스터
21. 블러드 이블

하위권

22. 헤비베럴
23. 벨라트릭스
24. 문 엠프레스
25. 트릭스터
26. 데스페라도
27. 워록
28. 블러디아
29. 마이스터
30. 광호제

나머지는 쓰기도 귀찮다.
생각해보니 위에 나온 계급표가 대충은 맞는 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